본문 바로가기
핫 이슈 정리🔥

2025 대선 후보 경제 공약 총정리|기본소득 vs 세금감면, 누가 더 현실적일까?

by 굿리치우먼 2025. 5. 20.

2025 대선 후보 경제 공약 총정리|기본소득 vs 세금감면, 누가 더 현실적일까?

2025 대선 후보 경제 공약 총정리|이재명·김문수·이준석 비교 분석

① 이재명 경제 공약

이재명 후보는 인공지능 산업 육성을 핵심으로 내세우고 있다.

100조 원 규모의 투자로 AI·반도체·로봇 등 첨단 산업에 집중 투자하며, 청년 일자리 창출과 미래 산업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기본소득형 복지 개편을 통해 저소득층에게 월 단위로 현금을 지급하고,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등 불안정 노동자에게도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마련해주겠다고 강조했다.

부유세 및 토지세 확대를 통해 재정을 확보하고,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개편하는 방향도 포함되어 있다.

② 김문수 경제 공약

김문수 후보는 노동시장 유연화와 민영화 확대를 주요 골자로 삼았다.

철도·가스·전기 등의 공공부문을 민간에 개방하고, 기업 규제 완화를 통해 투자를 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또한 법인세 인하, 상속세 폐지 등 친기업적인 세제 개편도 추진해 기업 활동을 장려하고, 경제 활력을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민간 주도의 경제 구조로 전환하여 고용 창출을 이루겠다는 입장이나, 공공서비스 약화 우려도 있다.

 

③ 이준석 경제 공약

이준석 후보는 청년 창업 생태계 구축을 핵심 비전으로 제시했다.

스타트업 지원 확대, 투자 인프라 조성, 공공조달에 청년 기업 참여를 보장하는 방안 등이 포함된다.

기술혁신과 디지털 인프라 확대를 통해 청년 중심 디지털 경제로 전환을 유도하며, IT인재 양성 정책도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세수확보를 위한 효율적 재정 운영과, 기존 세제를 건드리지 않는 실용적 접근이 특징이다.

 

④ 후보별 공약 비교

후보 핵심 공약 특징 우려사항
이재명 AI산업 100조 투자, 기본소득 도입 기술·복지 병행, 재정 확장 재정 건전성, 기업 부담
김문수 민영화 확대, 세금 감면 시장주의 중심, 기업 투자 확대 공공성 약화, 양극화
이준석 청년 창업 지원, 디지털 인프라 미래세대 중점, 실용정책 재정 규모 제한, 영향 제한

 

⑤ 결론

각 후보의 경제 공약은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이재명은 복지와 기술, 김문수는 시장경제, 이준석은 청년과 디지털을 키워드로 한다.

국민은 어떤 가치를 우선시할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질 수 있으며, 경제 공약의 실현 가능성과 지속 가능성도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것이다.

여러분은 어떤 후보의 경제 정책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생각하는가? 

▲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