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 이슈 정리🔥

[2025 대선 공약 비교] 이재명·김문수·이준석 부동산 정책 한눈에 총정리

by 굿리치우먼 2025. 5. 19.

2025 대선 후보 부동산 공약 총정리|이재명·김문수·이준석 비교 분석

2025 대선 후보 부동산 공약 총정리|이재명·김문수·이준석 비교 분석

① 이재명 후보 부동산 공약 (더불어민주당)

  • 4기 신도시 개발: 수도권 외곽에 새로운 신도시를 조성해 대규모 주택 공급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 공공분양·공유주택 개발: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공공임대 및 공유주택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정책이다.
  • GTX·KTX·SRT 연장 운영: 수도권-지방 간의 교통망을 확충해 주거 이동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 GTX D·E·F 단계적 추진: 기존 GTX 노선 외에 추가 신규 노선을 조속히 추진해 수도권 접근성을 개선하려는 방침이다.
  • 1기 신도시 재정비 지원: 노후화된 기존 신도시의 주거환경 개선 및 기반시설 보강을 위한 재정비 계획을 제시했다.

 

② 김문수 후보 부동산 공약 (국민의힘)

  • 대학가 반값 월세존 지정: 대학 인근 지역을 ‘반값 월세존’으로 설정해 청년 주거 부담을 경감시키겠다는 내용이다.
  • 1인 아파트·오피스텔 공급 확대: 1인가구를 위한 맞춤형 소형주택을 확대 공급해 가구 형태 변화에 대응하겠다는 정책이다.
  • GTX 5대 광역철도망 확대: 수도권과 주변 지역을 잇는 철도망을 확장해 출퇴근 시간을 줄이고 주거 분산을 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도시 내 노후 주거지를 정비해 도심 내 주택 공급을 촉진하겠다는 방침이다.
  • 층간소음 방지 의무화: 신축 공동주택에 층간소음 저감 장치를 의무화해 주거 질을 향상시키겠다는 공약이다.

 

③ 이준석 후보 부동산 공약 (개혁신당)

  • 용적률 대폭 상향: 건물 높이와 면적 규제를 완화해 같은 땅에 더 많은 주택을 지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공급 확대 방안이다.
  • 전용 59㎡ 집중 공급: 실수요자 선호가 높은 중소형 주택을 대량 공급해 수요에 부합하는 주택을 늘리겠다는 전략이다.
  • 생애주기 맞춤 주택세금 감면: 생애 단계별로 주택 구매에 따른 세금 부담을 줄여 내 집 마련을 쉽게 하겠다는 방안이다.
  • 임대등록제 활성화: 지방 미분양 아파트를 임대주택으로 전환해 공공임대 수요와 미분양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려는 정책이다.
  • 지역주택조합제 폐지: 피해가 잦은 지역주택조합 제도를 폐지하고 보다 안전한 분양 시스템으로 전환하겠다는 공약이다.

④ 공약 비교 요약

후보 정당 공급 정책 세부 전략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신도시 + 교통망 확장 4기 신도시, GTX D·E·F, 공공분양
김문수 국민의힘 소형주택 공급 + 청년층 지원 반값 월세, 재개발, 층간소음 방지
이준석 개혁신당 세제 완화 + 제도 정비 59㎡ 공급, 생애주기 세금 감면, 용적률 상향

3인의 공약은 공급량을 늘리는 것에는 공통점을 두고 있으나 접근 방식은 뚜렷하게 다르다.

이재명은 인프라와 신도시 중심의 대형 프로젝트, 김문수는 청년·1인가구 중심의 복지형 공급, 이준석은 제도 개선과 실수요자 중심의 세제 전략에 집중한다.

▲ 맨 위로 이동